1. 개요
- 항목: 인스타그램 웹 콘텐츠, 포스터
- 목적: 디자인 역량 향상, 작업 사이클 테스트
- 기간: 2025.03.17 ~ 2025.03.21
- 활용 프로그램: Adobe Photoshop


2. 새롭게 알게 된 점
타이포그래피
- 산세리프체는 왜 깔끔하고 모던한 느낌이 드는가?
- 단순성, 인지적 효율성: 사람의 뇌는 불필요한 요소나 복잡한 디테일을 처리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간결하고 직선적 구조인 산세리프는 인지적 부담이 적어 읽을 때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 시대적 배경에 따른 심리적 연상: 세리프체(ex. Times New Roman)는 고대 로마의 서체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Serif는 고전적 미학을 반영한, 고풍스럽고 전통적인 느낌을 준다. 산세리프체는 산업혁명, 디지털 혁명 영향 아래 등장했다. 간결하고 효율적인 디자인을 추구했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Serif체는 고전적인 이미지를, Sans-Serif체는 현대적인 이미지를 준다.
조형
- 왜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것을 안정감 있다고 느끼는가?
- 기하학적 안정성: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형태는 시각적으로 삼각형과 유사하다. 삼각형 형태는 대칭적인 구조로 인해 시각적 안정감을 준다.
- 무게중심에 대한 신뢰: 넓은 바닥은 무게중심이 낮아지는 효과를 준다. 하중이 바닥 쪽에 집중되는 구조로, 지지받고 있는 느낌을 준다.
- 자연의 형태: 자연에서 산, 나무 등은 흔히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형태를 따른다. 때문에 자연스러운 균형을 느낀다.
레이아웃
- 좌우를 균등하게 정렬하면 왜 안정감 있다고 느끼는가?
- 모서리나 꼭지점에 배치된 요소들은 시각적으로 무게를 분배한다. 사각형의 각 모서리는 각기 다른 방향을 가리키기 때문에 중심에 과도한 집중을 피할 수 있다.
- 인간은 규칙적이고 대칭적인 형태를 선호한다. 불규칙하거나 비대칭적 구성에서 불편함을 느낀다.
- 근접성, 여백은 어떤 효과를 줄 수 있는가?
- 시각적 호흡공간: 여백은 시각적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화면이나 페이지가 꽉 차있으면 시선이 불안정하게 이동한다. 여백이 있으면 답답함을 없애고, 시각적으로 여유로운 느낌을 주어 편안한 구성이 된다.
- 시각적 분리: 여백을 기준으로 두 그룹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면서 각 요소가 독립적인 공간으로 인식된다. 이는 곧 정보의 계층화에도 도움이 된다.
- 정보의 계층화: 요소가 분리됨에 따라 둘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자인 양식 / 컨셉 / 패러다임
- Grainy Gradient (그레이니 그래디언트)
- Grunge (그런지) https://yerimsw.tistory.com/249
3. 회고
개선할 점
- 구체적인 기획 없이 바로 창작하려 한 점
- 디자인 목적, 색상 팔레트 선정, 레이아웃 구성이 미흡했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 다음 사이클에는 기획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해야겠다.
- 앞으로는 기획 → 레퍼런스 리서치&분석 → 레이아웃 구성 → 컨셉 적용 순으로 디자인 해야겠다.
느낀 점
- 목적에 따라 달성해야 할 목표와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기획 단계가 매우 중요함을 깨달았다.
- 텍스트(메시지)의 계층 구조를 분류하는 레이아웃 설계가 중요함을 깨달았다.
- 전달할 메시지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해 시선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